본문 바로가기
임팩트투자/지속가능한도시

[싱가포르의 기적] 정부 기관의 역할

by 지식편집자 2023. 9. 22.

 

싱가포르 정부는 공공 기관을 통해 부동산 산업을 포함한 국가 경제 발전을 주도해 왔다. 독립 후 반세기 동안 싱가포르 부동산 산업 및 시장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정부 기관들이 부동산 산업 발전에 어떤 역할을 했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1960년 설립된 주택개발청(HDB)이 대표적이다. 주택개발청은 싱가포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주택 공급업체로서, 싱가포르 인구 80% 이상이 거주하는 공공 주택을 공급하였다.

 

정부 기관들은 싱가포르 부동산 산업 성장을 주도하였으며, 공공과 민간 상호 간의 긴밀한 파트너십은 부동산 산업의 발전에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독립 이후 지난 반세기 동안 싱가포르 도시 환경의 혁명적 변화에 있어서 정부 기관들이 수행했던 주요 역할을 정리하였다. 부동산 개발 주기 관점에서 정부 공공 기관의 역할을 살펴보는 것에서 시작하여, 도시 계획 및 개발, 공공 주택 공급, 산업 및 광광업을 포함한 경제 발전 영역에서 공공 기간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주택개발청(HDB) 싱가포르 공공 임대주택, 출처:https://dollarsandsense.sg/hdb-home-really-asset/

1. 부동산 개발 주기에 따른 정부 기관의 역할

부동산 개발 주기는 6단계로 구성된다.

 

1)토지 정리 작업

작은 섬 국가인 싱가포르의 토지 규제 체계는 부동산 개발과 관련된 결정에 있어서 단일 주체가 의사결정 권한을 갖는 이점을 갖고 있다. 반면에 국가의 물리적 크기가 작음으로 인해 토지의 매립을 통해 영토의 크기를 확장해야 하는 노력이 필요했다. 오늘날 창이공항과 마리나 베이와 같은 주요 기반 시설들은 새롭게 개간된 매립지에 건설되었다. 1960년대에 걸쳐 정부의 토지 매립 및 취득이 진행되었고, 1970년대에는 이러한 토지를 기반으로 교통, 공공 주택, 학교 시설과 같은 공공을 위한 시설을 공급하였다.

 

독립 당시 가장 중요한 사회 문제 중 하나는 싱가포르 중앙 지역 주민들의 주거환경 개선 작업이었다. 이 지역의 도심 재개발을 위해 1964년 도시재개발팀 Urban Renewal Unit이 설립되었다. 정부는 도시재개발팀을 통해 중앙 지역을 활기 넘치는 현대적인 상업 지역으로 바꾸고자 하였다. 1996년에 도시재개발팀은 도심재개발부서 Urban Renewal Department 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더욱 적극적으로 도심재개발 사업을 추진하였다. 1970년대에서 1980년대에 진행된 도시재발부서의 부지 매각 프로그램은 중앙 지역에 숍하우스가 밀집된 슬럼가에 대한 재개발을 가능하게 하였다. (1974년 도시재개발부서의 명칭은 도시재개발청 Urban Redevelopment Authoirty으로 변경됨)

기존 슬럼가 지역 재개발사업을 통해 개선된 숍하우스, 출처: https://thepeakmagazine.com.sg/lifestyle/what-to-know-before-investing-in-a-shophouse/

토지취득법은 도시의 혁명적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주요 법률이었다. 이를 통해 토지 수용권을 갖게 되었고 오늘날의 싱가포르를 건설하는 기반이 되었다. 당시 대부분의 토지 정리 작업은 정부 차원에서 진행되었지만 민간 부문에서의 부동산 정리 및 개발 사업 또한 적극 장려되었다.

 

1966년에 토지취득법이 제정되면서 도시재개발부서가 분할된 토지들을 취득, 정리, 합필하는 작업이 용이해졌고, 이를 통해 국가 소유 토지를 확대할 수 있었으며, 이주민들의 재정착 과정을 도울 수 있었다. 1967년까지 도시재개발부서는 '부지 매각' 프로그램을 통해 13개의 국가 소유 부지를 시장에 성공적으로 매각하였다. '부지 매각' 프로그램은 도시재개발부서가 싱가포르 중심업무지구에 대한 정책적 비전을 실현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부지 매각' 다음으로 '정부 토지 매각 Government Land Sale" 프로그램이 도입되었다. 이는 정부와 민간 부문 상호 간의 파트너십을 통해 효과적으로 작동되었다. 정부 소유 토지를 입찰을 통해 시장에 매각하기 전에 인근의 주요 인프라를 계획 및 건설하였고, 민간은 이러한 정부 차원에서의 토지 정비 작업을 위해 자본을 투입하고 기업이 보유한 전문성을 제공하였다. 도시재개발청은 정부의 토지를 민간에 매각(99년 장기 임대차)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정부 토지 매각 프로그램을 통해 마리나 베이 금융센터 및 아시아 스퀘어와 같은 주요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싱가포르의 새로운 금융 지구인 마리나 베이 지역을 성공적으로 개발할 수 있었다. 또한 새롭게 성장하는 지역인 주롱 호수 지역과 파야 레바 센트럴 지역의 개발 사업도 정부 토지 매각 프로그램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2)개발 계획 및 인허가

정부의 토지 계획 및 개발에 대한 효과적인 통제 권한은 싱가포르 부동산 산업의 혁명적 발전에 있어 근본적인 성공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도시재발청은 제한된 토지의 최적화된 개발에 대한 책임을 맡고 있는 정부 기관이다. 싱가포르의 토지 이용 계획은 2단계 시스템으로 이원화되어 운용된다.

 

첫 번째는 컨셉 플랜으로 국가 차원에서 사회, 경제,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40년에서 50년 동안의 장기적, 전략적 계획을 반영한다. 컨셉 플랜은 급변하는 사회 환경, 인구 구조 변화, 경제 성장에 대응하기 위해 10년마다 재검토 된다. 최초의 컨셉 플랜은 1971년 유엔 개발 프로그램의 기술적 지원을 통해 진행되었다.

 

1971년 최초의 컨셉 플랜, 도시재개발청(URA)

 

2011년 컨셉 플랜, 도시재개발청(URA) /국가개발부(MND)

2011년 도시재개발청 컨셉 플랜/ 국가개발부 토지 이용 계획,

출처: https://www.ura.gov.sg/Corporate/Planning/Concept-Plan/Land-Use-Plan

두 번째는 마스터 플랜으로 토지 이용에 대한 법적 기반이 되며 1958년 도입되었다. 각 지역의 요구들을 충족할 수 있도록 각 토지 구획별로 상세한 항목들을 규정한다. 토지 용도, 용적률, 도로 교통망, 공용 공간, 건물 형태, 건물 높이 등에 대한 상세한 규정들을 정한다. 마스터 플랜은 10년에서 15년 동안의 중기적인 개발 계획을 규정한다. 컨셉 계획의 장기적인 목표를 실현할 수 있도록 5년마다 정비되며, 이는 각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개발 지침이 된다. 규정 사항들이 항목별로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 회사의 투자자들은 부동산 개발 사업의 예측 불가능에서 오는 불확실성을 줄이고 투명성을 제공받을 수 있다.

2019 마스터 플랜, 출처: https://www.ura.gov.sg/dmp19/maps/

1987년 도시재개발청은 개발 가이드 플랜을 도입했다. 개발 가이드 플랜은 마스터 플랜의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검토를 위해 만들어졌으며, 싱가포르 지역 내 55개 지역에 대한 세부적인 토지 계획을 마련하였다. 1998년 12월 싱가포르 내 55개 모든 지역에 대한 개발 가이드 플랜이 완성되었고, 이러한 개발 가이드 플랜의 내용들은 새로운 마스터 플랜에 반영되어 정부 간행물을 통해 배포되었다. 이때 이후로 설립된 마스터 플랜들은 기존의 정적이고 규범적인 틀에서 탈피하여 미래 지향적인 계획을 담은 플랜으로 발전하였다.

 

개발 가이드 플랜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1995년 10월에 도입된 "임의 개발 가능 부지" 개념이다. 계획 수립 관계 부처의 관점에서 임의 개발 가능 부지는 시장 상황에 맞게 부동산 개발 회사가 토지 활용 계획을 직접 세울 수 있도록 하는 시장 친화적 정책이었다. 임의 개발 가능 토지의 경우, 부지에 허용된 최대 연면적을 초과하지 않는 한, 개발 회사가 건물의 사용 용도와 용도별 면적을 자유롭게 정할 수 있다. 임의 개발 가능 부지에서는 부동산 개발 회사들이 토지의 사용 용도를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창의성을 보장하여 변화하는 시장 상황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게 하였다. 이로 인해 변화하는 시장 수요와 건물 용도 사이 간의 간극을 감소시켰다. 변동성이 높은 부동산 시장에서 임의 개발 가능 부지는 사용 용도가 미리 정해진 일반적인 부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프리미엄을 갖는다. 이러한 혁신적인 접근법은 싱가포르 정부가 제한적인 국토 크기를 극복하기 위해 어떻게 대처했는지 단적으로 보여준다.

 

3)건설 및 프로젝트 관리

싱가포르 정부는 건설청을 통해 건축 공정을 관리한다. 싱가포르의 건물들은 건설청 건물 규제 시스템에 관리 받는다. 설계, 건설, 관리 부문에서 높은 안전 기준을 충족해야 하고 이를 위해 전문 엔저니어들의 점검과 책임이 의무화되었다. 건설청은 건축 및 구조 계획의 인허가, 주기적인 구조 점검, 굴착 공사 규정, 건물 외관, 옥외 광고물 등을 관리한다. 또한 시공업을 하기 위한 건설업 면허 발급에 대한 인허가권을 갖는다. 건설청은 통제와 규제 이외에도, 선진 기술을 수용하고 새로운 혁신을 촉진하여 싱가포르의 제한된 국토 크기와 헌정된 자원 시장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한다.

싱가포르 건설청(BCA), 출처:https://www.bca.gov.sg/

4)마케팅 및 임대차

부동산 개발 사업 주기에서 마케팅 및 임대차는 부동산 거래와 임대차의 공급과 수요를 연결하는 중요한 단계이다. 새롭게 신축되는 개발 사업의 경우 마케팅 및 임대차에 많은 노력이 요구되며 성공적인 마케팅은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오피스나 쇼핑몰과 같은 상업 시설의 경우, 프로젝트에 알맞는 임차인과 수분양자로 임차를 구성하여 개발 회사가 의도하는 이미지와 평판을 갖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2010년 부동산 중개법이 개정되었고, 국가개발부 산하의 부동산중개위원회(CEA, Council for Estate Agencies)가 설립되었다. 부동산중개위원회는 부동산 중개 산업과 관련된 새로운 규제를 관리, 감독하는 권한이 있다. 부동산 중개인들이 2차 시장에서의 부동산 거래를 담당하는 동안, 정부는 관련 기관들을 통해 이들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법적 토대와 정보를 제공하였다.

 

법무부 산하의 국토청 Singapore Land Authority은 토지 매매, 임대, 매입 및 매각을 통해 정부 소유 토지를 관리한다. 또한 국토청은 정부 관계 기관으로서 국가 소유 토지를 산업의 모든 이해 당사자들이 자신들의 사용 목적에 최적화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 및 판매한다. 토지 사용의 최적화를 위한 토지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지리 정보 데이터와 관련된 인프라 시설 및 정책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정부, 기업, 커뮤니티들이 시장의 정보를 얻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국토청은 또한 토지 등기 업무를 담당하며 이를 통해 싱가포르 부동산 거래를 관리한다.

 

부동산 시장에서 정보는 매우 중요하다. 싱가포르는 국가 발전 초기 단계에서 정부 기관들은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시장에 제공하였다. 국토청을 비롯한 정부 기관들은 시장의 부동산 거래에 있어 시기 적절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업의 이해 관계 당산자들은 부동산 시장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판단 내릴 수 있었다.

 

5)점유 및 사용

공공 주택의 경우, 공용부를 관리하기 위해 1990년 지역 의회가 설립되었고, 지역 의회 차원에서 공공 주택 공용부를 관리하였다. 싱가포르 인구의 80% 이상이 거주하는 주택개발청 공공 주택은 1998년 지역 의회 조례가 제정된 이후 지역 의회가 해당 지역 내 공공 주택 공용부에 대한 유지 및 관리의 책임을 갖게 되었다.

 

6)개선 사업 및 재개발

정부는 집합 건물 소유 건물에 대한 재개발을 장려하는 법을 도입했다. 20년 이상 된 부동산의 경우, 집합 건물 소유자의 80% 이상이 동의하면 해당 부동산을 일괄적으로 매각하거나 재개발할 수 있게 하였으며, 10년에서 20년 사이의 부동산의 경우, 집한 건물 소유자의 90% 이상이 동의하면 일괄적으로 매각할 수 있게 법을 제정하였다. 주택개발청은 1990년대부터 기존 공공 주택에 대한 리모델링 및 재개발 사업을 진행하였다. 상업용 부동산, 특히 리테일 부동산의 경우, 리모델링과 같은 개선 사업을 정기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트렌드가 되었다. 많은 경우, 이러한 상업용 부동산은 리츠에 의해 소유되었고 임대 수익 증대를 위해 정기적으로 개선 사업을 진행하였다.

 

2. 부동산 개발 산업에 대한 정부 지원

싱가포르 정부는 두 가지 중요한 정책적 전략을 고수하였다. 첫째는 창이공항과 해양항구와 같이 장기적 관점에서 특정 지역을 전략적으로 활성화하는 전략이다. 이를 통해 부동산 산업의 미래 시나리오를 살펴볼 수 있다. 두 번째는 공원 및 수변 공간을 통한 도심 환경 개선으로 이러한 자연 공간을 도심 속에 제공하면서 부동산 산업 발전에 긍정적인 환경을 조성하였다.

1960년대 초부터, 싱가포르의 초대 총리인 리콴유는 싱가포르를 아시아 중심부에 위치한 중심부에 위치한 정원 도시로 만들려는 계획을 세웠다. 그는 싱가포르 섬 전역을 녹지화 시키려는 비전을 제시하였는데, 도심화로 발생하는 도시의 척박함을 녹지 공간을 통해 완화시키고,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며, 외국으로부터 투자를 유치하는데 도움이 될 거라 믿었다. 이러한 싱가포르 녹지화 프로젝트는 국립공원위원회 National Parks Boards 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오늘날 국립공원회의 비전은 도시에 정원을 개발하는 것을 넘어 싱가포르 자체를 정원으로 만들어 정원 속 도시를 만드는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정부 기관인 공공시설청 Public Utilities Boards은 'Active, Beautiful and Clean Water" 프로그램을 통해 운하 및 배수구 지역을 활용하여 일반의 접근이 가능하고 레크리에이션 활동이 가능한 매력적인 수변 공간을 만들었다. 공공시설청은 국립공원위원회와 함께, Green and Blue Plan 프로젝트를 통해 공원과 수변 지역에 인접한 개발 사업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사람들의 생활 환경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3. 주택에서 정부의 역할

싱가포르 주택개발청에 의해 개발된 공공 주택 아파트는 싱가포르 개발 산업의 물리적 성장 그 자체를 의미한다. 오늘날 싱가포르 인구의 80% 이상이 주택개발청 아파트에 살고 있고, 이중 90% 이상이 실거주 목적으로 소유하였다. 싱가포르 공공 주택 프로그램은 1960년대에 시작되었는데 당시에는 주거 공간이 매우 부족했기 때문에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주민들의 기본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저가의 주택 모델이 필요했다.

 

싱가포르의 첫 번째 컨셉 플랜이 1971년에 수립되었고, 주택개발청은 두 가지 기본 원칙에 따라 공공 주택을 설계했다. (1) 장기적인 주택 수요를 충족하며 제한적 규모의 토지를 극복하기 위한 최적화 방안으로 고밀도의 고층 공공 주택 건설 유도 (2) 완전한 주거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교육, 사회, 커뮤니티 시설을 갖춘 지속 가능한 자립형 신도시 구축

 

1980년대에서는 사회 전반적인 부의 증대로 더 나은 공공 주택에 대한 사회적 기대가 생겼다. 단지의 형태 및 구조, 공원, 레크레이션 시설, 거리의 경관 등과 같은 커뮤니티 시설을 고려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에는 높은 수준의 주거환경 조성과 커뮤니티 정체성 형성에 중점을 두었다. 강력한 시각적 효과를 통해 커뮤니티에 정체성을 부여하려 하였고 이에 따라 랜드마크, 조경, 특수한 건축적 요소를 반영하였다. 변화하는 사람들의 요구와 라이프스타일을 충족시키키 위해 싱가포르의 공공 주택은 1960년대의 낮은 가격의 주거 형태에서 오늘날 싱가포르 도시 경관을 대표하는 높은 품질의 합리적인 가격의 아파트 단지로 발전했다.

 

싱가포르 공공 주택 디자인 진화 과정

싱가포르 공공 주택 디자인 진화 과정 [왼쪽부터 1960년대 slab / 1980년대 community / 2000년대 environment, design] 출처:https://mothership.sg/2017/10/hdb-flat-designs-have-evolved-through-trial-error-experimentation/

싱가포르 공공 주택 시장은 강력한 규제가 있는 1차 시장과 자유 방임 형태의 2차 시장이 공존한다. 주택개발청 보조금을 통해 아파트를 구입한 소유주는 최소 5년 간의 점유 기간을 충족한 후에 아파트를 판매할 수 있다. 2차 시장에서 새롭게 매입할 주택개발청 아파트와 기존의 주택개발청 아파트 간의 시세 차익을 확보할 수 있고, 이를 통한 자산 축적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확보한 자산으로 공공 주택에서 민간 주택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싱가포르 공공 주택은 다른 나라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차이를 보인다. 첫째, 공공 주택이 국가 건설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싱가포르는 독립 당시부터 전국민에게 주택을 공급하겠다는 비전을 세웠고 이를 이뤄냈다. 오늘날 싱가포르의 모든 국민은 주택개발청으로부터 보조금을 받으며 새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다.

둘째, 공공 주택은 주거지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사회적 재화로 여겨질 뿐만 아니라 퇴직과 같은 미래를 대비하여 자본화할 수 있는 자산으로 가준된다. 셋째, 공공 주택의 적절한 관리와 유지를 통하여 아파트의 가치가 유지된다.

 

4. 부동산 부문에서 정부의 역할

싱가포르 정부는 부동산 개발 주기 전반에 걸쳐 여러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주택 시장에도 직접적으로 참여하였다. 더불어 주롱타운공사를 통해 산업 부문에서, 싱가포르 관광위원회를 통해 관광 부문에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었다.

 

1) 주롱타운공사- 산업용 부동산

주롱타운공사는 경제 성장을 추진하기 위한 정부의 산업화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1968년 설립되었다. 주롱타운공사는 싱가포르 산업 공간의 계획, 홍보, 개발을 선도하는 주요 기관이다. 1968년 설립된 이래로, 주롱타운공사는 산업의 변화를 지원하고 고용을 창출하기 위한 토지와 공간을 개발함으로써 싱가포르의 경제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

 

독립 초기에 제조업은 경제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다. 주롱타운공사는 여러 산업을 위한 공장을 공급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주롱타운공사는 산업화 각 단계마다 변화하는 기업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한 첨단 인프라를 구축했다. 주롱타운공사의 주요 개발 사업으로는 습지대에 건설된 최초의 산업 단지인 주롱 산업 단지, 주롱섬 지역에 조성된 화학 산업 중심지가 있다. 또한, 항공 물류 파크, 국제 창이공항 비즈니스 파크, 셀라타 항공우주 파크 등과 같은 산업 단지들을 여럿 개발하였으며, 바이오폴리스, 퓨저노폴리스, 미디아폴리스와 같은 지식 기반 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였다. 주롱타운공사에 의해 설립된 아센다스는 오늘날 싱가포르 지역 내 비즈니스 파크를 개발하는 대표적인 부동산 회사이며, 1990년대 뉴 테크놀로지 파크 개발 사업을 주도하였다.

 

주롱타운공사는 현재 산업의 변화하는 요구를 지원하기 위한 개발 사업을 진행할 뿐 아니라, 새로운 산업의 미래 공간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는 선구자적인 프로젝트도 진행하며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롱 락 케버른의 경우 동남아시아에서 최초로 개발된 암석 밑 동굴에 위치한 탄화수소 저장고이다. 주롱타운공사는 산업과 기업의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특정 산업에 특화된 혁신적 공간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며 새로운 사업 클러스터를 지원하고 있다.

주롱타운공사가 개발 계획 중인 Jurong Innovation District, 출처: https://archibazaar.com/articles/jurong-innovation-district-the-future-of-living/

2) 싱가포르 관광진흥위원회 - 숙박 및 관광

싱가포르는 관광진흥위원회는 1964년 싱가포르 관광 산업 발전을 위해 설립되었다. 관광진흥위원회는 설립 초기에 호텔 등의 숙박 시설, 주롱 버드 파크, 동물원, 리조트 섬인 센토사 등을 조성하며 싱가포르 관광 산업에서 매우 중요한 기반을 마련하였다.

 

싱가포르 관광진흥위원회는 1986년 "1빌리온달러 관광개발계획"이라 불리는 싱가포르의 첫 관광 마스터플랜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5개의 주요 테마로 이루어져 잇다. 1)열대 섬 휴양지 2)깨끗한 녹색 정원 도시 3)유산이 풍부한 도시 4)이국적인 동양의 도시 5)국제적인 스포츠 및 행사의 주최국, 이라는 다섯 가지 방향성을 지녔다.

1990년대에는 "관광 21" 마스터 플랜을 발표했다. 관광 21의 주요 전략 중 하나는 지역성에 기반한 관광을 통해 싱가포르를 지역 관광의 중심지이자 비즈니스 중심지로서의 명성을 갖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 마스터 플랜의 핵심은 싱가포르를 활기차고 살기 좋은 도시로 변화 시키키 위해 공공 부문, 민간 기업, 그리고 지역 주민들간의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는 관광 산업이 외부에서 온 관광객을 위한 것일 뿐만 아니라 모든 싱가포르 사람을 위한 것이라는 믿음에 기초한다.

 

1997년에는 기존의 '싱가포르 관광진흥위원회'라는 명칭을 '싱가포르 관광위원회'로 변경하였으며, 관광 부문에 대한 그들의 역할을 더욱 확대하였다. "투어리즘 2015" 로드맵은 싱가포르의 위상을 역동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갖춘 아시아 최고의 컨벤션 도시로 격상하기 위해 2004년 발표되었다. 동시에 싱가포르가 레저 및 서비스 분야에서 동남아시아 지역의 중심이 되는 것을 목표하였다. 이 로드맵을 통해 포뮬러 원 싱가포르 그랑프리, 카지노 종합 리조트, 싱가포르 플라이어와 같은 대규모 관광 사업을 추진할 수 있었고, 이는 관광 산업의 비약적인 성장으로 이어졌다.

 

 

싱가포르의 기적, 싱가포르국립대 교수진 지음/ 출판사 차밍시티